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
감성 분석이란 자연어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문장 혹은 문서에서의 표현이 긍정, 부정 혹은 중립인지를 판별하는 기술이다. 아래 그림 1과 같이 약 15만건의 훈련용 데이터세트의 각 행에 id 컬럼과, document 컬럼에 영화평과 label 컬럼에 1(긍정) 혹은
0(부정)의 정보가 들어있는 네이버의 영화평 코퍼스를 사용하여
감성분석을 살펴본다.
<그림 1. 네이버 영화평 데이터세트
예>
감성 분석 처리 절차
딥러닝을 통한 대략적인 감성 분석 처리 절차는 아래 그림2와 같다. Huggingface 의 Kobert 사전 학습 모델을 전이받아 훈련하는데 있어 수행은 Google
Colab 을 이용하였다. Huggingface 의 transformers
를 import 해 쓰려면 Tensorflow 2.5 이상이
필요하다. Huggingface는 BERT, BART, ELECTRA 등등의 최신 자연어처리 알고리즘들을 Tensorflow,
Torch로 구현한 transformers repository 를 제공하여 많이 사용한다.
최근 발표된 Bert 라는 언어모델에 기반해서 한글 데이터세트에서 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는
Kobert 언어모델을 사용한다. 순서는 아래 그림 2와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1.
관련 라이브러리와 네이버 영화평 코퍼스를 다운받는다.
2.
최신 tensorflow 버전 2.5 이상에서 동작하는 huggingface 사의 kobert tokenizer 를 사용하기 위하여 이곳에서 KobertTokenizer 내용을 주피터
노트북 셀로 복사해 옴.
3.
Bert 입력 형태로 네이버 영화평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
4.
Bert 사전학습 모델을 전이학습을 통한 모델 구축
5.
이 사전학습 모델위에 긍정. 부정 분류를
위한 이진(binary)분류기의 층을 파인 튜닝을 위해 추가
6.
모델 훈련 및 평가
<그림 2. 감성 분석 처리 절차>
Bert 언어모델
2020년 구글이 공개한 AI 언어모델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는 일부 성능 평가에서 인간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AI 기반 최첨단 딥러닝 모델이다. 언어 모델이란 자연어의 법칙을 컴퓨터로
모사한 모델인데, 보통 주어진 단어 들로부터 그 다음에 등장할 단어의 확률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학습되어, 다음에 등장할 단어를 잘 예측하는 모델은 그 언어의 특성이 잘 반영된 모델이고 문맥을 잘 계산하는 좋은 언어
모델로 간주한다. 좋은 예로, Google 검색 창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이라는 문장을 치면 다음에 이어서 화면에 나타나는
문장들을 보고 얼마나 우리말에 자연스럽고 합당한 문장이 이어지는 가를 보는 것과 같다. 가장 기초적인
언어모델은 Markov 체인인데 이전 뉴스레터의 7호 와 8호를 참고하기 바란다.
2017년 이전의 자연어처리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재귀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구조를 완전히 배제하고 attention 만으로 이전의 자연어처리의 문제점들을 극복한 transformer
라는 획기적인 구조가 발표되고 이후 구글은 Bert를 발표한다. Bert 는 transformer 의 인코더-디코더 구조 중에 인코더 만을 사용한다. Transformer 에
대해서는 이전 뉴스레터 4호를 참고.
Bert 는 약 30억 어절의 영어데이터와 3만개의 토큰을 사전으로 활용하여 ‘언어 이해’ 모델을 사전 학습. 학습
방법도 특징이 있는데 첫째, 두개의 문장을 문장 순서로 학습하여 두번째 이어서 오는 문장이 순서에 맞는
문장인지를 학습. 둘째, 양방향으로 학습하여 가려진 단어를
맞추는 방식으로 학습. 예를 들어,
저 남자는 (①)에 출근했다. 회사에
출근하자마자 (②)를 마셨다 라는 문장이 있을 때,
①
번과 ②번 마스크에 대하여 ‘회사’와 ‘커피’라고 맞추는
방식의 훈련이다.
<그림 3. BERT 에 입력되는 토큰의 임베딩>
위의 그림3과 같이 이러한 Bert에 입력되는 두개의 문장은 Token, Segment, Position이라는
임베딩이 단어 임베딩 단위로 이루어져 Bert 에 입력된다. 이때
최종 입력되는 형태인 그림 최상단의 input 을 보면 ①과 같이 문장 처음에 [CLS]가 삽입되고 ②와 같이 문장 일부를 가려(MASK)버리고, ③과 같이 문장과 다음 문장을 구별하는
[SEP] 구별자가 들어가고 ④와 같이 단어 임베딩으로 WordPiece
tokenizer 를 사용하는데playing 이 play
와 ##ing 로 어절이 분리된다.
- Token Embeddings는 Bert에 입력으로 들어가는 문장을 tokenizing 한 후, index 번호를 매긴 것
-
Segment Embedding 은 문장과 다음
문장을 구분하는 것.
-
Position Embedding 은 입력되는 단어
위치를 내부적으로 자동 인식하기 위함
우리는 네이버의 한글 영화평 코퍼스를 입력데이터로 사용하기 때문에 네이버의 데이터 형식을 Bert 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Bert 가 어떻게 학습되었는가에 맞추어 형식을
일치시켜야 한다.
Huggingface 사의 github 를 보면 아래 그림 4와 같이 모델
별F1 score 를 볼 수 있다. Bert-Mutilingual 모델은
Bert를 147개국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 모델이다. 이렇게 단기간에 다양한 언어에 적용가능한 것은 WordPiece 방식의
토크나이저 덕분이다. 그런데 KoBERT 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 이제 KoBERT 를 살펴보자.
<그림 4. 한국어처리에 대한 Bert 의 성능[1]>
KoBERT
한국어 언어모델로 Bert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는 본 과제에서 사용되는 SKT brain 의 Kobert 가 있다. 9천2백만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 위키, 뉴스의 약 3.2억개
단어를 훈련하였고 sentencepiece tokenizer 기반으로 어휘사전은 8,000여개이다. 서울대의 KR-BERT
는 9천9백만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 2.3억개를 훈련하였고 양방향 wordpiece tokernizer 기반으로 어휘사전은 12,367개다. ETRI Bert 는 한글 형태소 기반의 언어 모델이며 1억천만개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47억개의 형태소를 학습하였고 한글 형태소기반 tokenizer 를 사용하여 어휘사전은 30,797개다. 이외에 SDS 의 KoreALBERT
는 44억개 단어를 훈련하였고 구글의 ALBERT 언어
모델에 기반한다.
Tokenizer 역시 각 사가 다른
tokenizer 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SKT Brain의 sentencepiece tokenizer에
기반한 huggingface에 등재된 Kobert tokenizer를 사용한다.
형태소란 더 분석하면 뜻이 없어지는 말의 단위다.
한글은 교착어이므로 명사에 조사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고 복합명사도 많다. 그래서 의미 단위로
교착어를 분리시키면 좋은 tokenizer를 얻고 성능도 좋아진다. 그런
의미에서, ETRI 의 형분석기 tokenizer 는 한글
성능을 향상시킬 여지를 좀 더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okenizer
토크나이저는 입력 문장을 단어 혹은 서브 단어 단위로 쪼갠 후 사전에 등록된 아이디로
변환해주는 과정이다.
[“Do”, “n’t”, “you”, “love”, “Bert”, “?”, “we”, “sure”, “do”, “.”]
위의 예는 단어 단위의 분절이지만, 문자
단위에 비해 어휘사전(vocab.txt)이 엄청 커지므로 메모리에 문제를 야기한다. 문자 단위 토크나이저는 단순하고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지만, 문맥을
이해할 의미 있는 단위로 학습하는데 지장을 준다.
기계가 문제를 풀 때, 모르는 단어가
등장하면 자연어처리가 까다로워진다. 이와 같이 모르는 단어로 인해 문제를 푸는 것이 어려워진 상황을 Out-Of-Vocabulary(OOV) 문제라고 한다. 서브 워드
분리 작업은 하나의 단어가 여러 서브 워드 들의 조합 (예,
birthplace = birth + place)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나의 단어를 서브 단어로 분리해서 인코딩 및 임베딩
하겠다는 의도를 가진 전처리 작업이다.
[“I”, “have”, “a”, “new”, “gp”, “##u”, “!”, ]
위의 예는 BertTokenizer 가
“I have a new GPU!”를 분절한 예이다. 서브
워드 분절은 의미 있는 단어 혹은 서브 워드 단위의 표현을 학습하면서도 합리적인 사전(vocabulary)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Byte-pair-encoding(BPE)는 이 논문에서 처음으로 고안되었고 우선 단위 출현 빈도수를 사전
토큰화 한다. 즉 아래와 같이 ‘hug’ 나 ‘pug’ 등의 빈도 수를 표시한다.
( ‘hug’, 10), (‘pug’, 5), (‘pun’, 12),
(‘bun’, 4), (‘hugs’, 5)
이후 위의 분절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문자 쌍을 찾아 어휘 사전에 등록하고 치환된
단어 분절을 계속 빈도 수에 따라 계속 결합해 나간다.
(‘h’ ‘ug’, 10) (‘p’ ‘ug’, 5) (‘p’ ‘un’, 12) (‘b’ ‘un’, 4) (‘hug’
‘s’ , 5)
BPE는 문자 단위에서 빈도 수가 많은
쌍(pair)을 찾아 점차적으로 단어 집합을 만들어가는 방식을 취한다.
Wordpiece 는 이 논문에서 제안되어 Bert에서 활용된 서브 워드 토크나이즈 알고리즘이며 BPE 의 변형
알고리즘이다. Wordpiece 는 모든 단어의 앞에 _를
붙이는데 이는 decode 를 위한 것으로 복원할 때 현재
있는 모든 띄어쓰기를 전부 제거하고, 언더바(_)를 띄어쓰기로
바꾼다.
SentencePiece
구글은 Bert에 wordpiece 를 사용했지만 구현체를 공개하지 않아 대부분의
한국어NLP 개발자들은 SentencePiece 를 사용한다. 구글은 센텐스피스라는 BPE 와 기타 서브 워드 토크나이징을 포함한 알고리즘을 발표한다. 논문 은 여기 그리고 github 는 여기를 참고. 센텐스피스는 단어 분리 알고리즘을 사용하기위해서 사전 토큰화 작업없이 전처리를하지않은
raw 데이터에 바로 단어 토크나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Kobert 로 네이버 영화평 한 문장을 토크나이즈
하면 아래 그림 5와 같이 나타난다.
<그림 5. Kobert tokenizer 출력
예>
네이버 영화평 코퍼스 로드
아래와 같이 git clone을 통해 네이버 영화평 코퍼스를 가져온다.
설치된nsmc 밑에 있는 ratings_train.txt (훈련데이터세트 15만건), ratings_test.txt(테스트세트, 5만건)을 pandas 테이블형식으로 로드 한다.
Train에 로드된 데이터를 확인해본다. id, document, label의 테이블 형식으로 로드 되어있다.
지금까지 감성분석 처리절차, Bert 언어모델, Kobert, 네이버 영화펑 코퍼스 로드까지
살펴보았다. 2편에서 KonertTokenizer 환경
준비부터 훈련 및 평가까지 살펴보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